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년 개정] 육아휴직 연장 조건·급여·분할 총정리 (1년 → 1년 6개월)

by 멜로디퀸 2025. 7. 3.

2025년 2월 23일 시행된 육아휴직법 개정으로 부모 각각 최대 1년 6개월, 분할 4회까지! 신청 기준·절차·급여·주의사항을 사례 중심으로 쉽게 정리했습니다.

 

육아휴직 제도 뭐가 바뀌었나

2025년부터 육아휴직이 더 길어지고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국은 저출생·워라밸 정책 강화를 위해 2025년 2월 23일 육아휴직 관련법을 개정했습니다. 핵심은 부모 각각 최대 1년 6개월, 분할 신청 4회까지 가능해졌다는 점입니다.

 

육아휴직 얼마나 늘었을까? – 개정 전후 비교

항목 예전(기존) 개정 후 (2025.2.23)
부모 1인 최대 기간 1년 1년 6개월
분할 사용 가능 횟수 2회(최대 3구간) 3회 (최대 4구간)
연장 대상 제한적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사용, 한부모 또는 장애아동 부모 포함

 

기존보다 사용 가능 기간과 분할 횟수 모두 증가, 특히 한부모·중증 장애아동 부모도 연장 가능

 

누구에게 해당될까? – 연장 자격 조건

- 부모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

- 한부모, 중증 장애아동 부모에게도 적용

- 기존 사용 이력도 포함, 즉 2025년 2월 이전 사용분도 인정

 

이미 사용 중이거나 과거 사용한 부모도 연장 대상 될 수 있음

 

어떻게 신청하나요? – 연장 절차

- 신청 시점: 휴직 종료 30일 전까지

- 기준 연령: 최초 휴직 개시 시 자녀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 승인: 신청 기한 준수 시 사업주는 원칙적으로 승인 의무 있음

✅ 신청 팁: “육아휴직 연장 신청서”를 통해 분할 사용까지 함께 요청 가능

  30일 전 신청 필수! 자녀 나이 기준은 최초 개시 시점 기준

 

얼마나 나눠쓸 수 있을까? – 분할 사용 확대

- 개정 전: 최대 2회 분할 → 총 3회 사용

- 개정 후: 최대 3회 분할 → 총 4회 사용 가능

- 추가 예정: 단기 2주 단위 사용 가능 방안 검토 중

 

✅ 필요에 따라 나눠서 사용하는 방식이 더 유연해짐

 

얼마나 받을까? – 급여 및 혜택 변화

기간 월 최대 지급액
1~3개월 250만 원
4~6개월 200만 원
7개월 이후 160만 원

 

✅ 기타 혜택: 배우자 출산휴가 10→20일 확대, 대체 인력 및 동료 지원금 등 고용부 지원 확대

✅ 급여 상한 인상 + 지급 방식 간소화, 출산휴가도 함께 확대 중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나요? – 사례로 보는 적용법

사례 A: 엄마(2024.1~10), 아빠(2024.11~2025.5) → 두 사람 모두 3개월 이상 사용 → 연장 가능

사례 B: 자녀 출생 후 2024년부터 휴직 사용 → 시행일 기준 요건 충족 시 연장 가능

핵심 요약: 과거 사용도 포함 → 시행일 이후 신청만 잘하면 연장 가능

 

주의사항 & 꿀팁

✔️ 30일 전 신청 필수

✔️ 근속 연수·연차 포함 여부 회사 규정 확인

✔️ 제출서류 구비: 통지서, 출산증명서, 장애아동 관련 증빙 등

✔️ 사업장 협의: 사규상 불이익이 없도록 조율 필수

 

관련 기관 도움 받기: 고용노동부 1350 / 서남권직장맘지원센터 ☎ 02-852-0102

 

 

 

육아휴직 기간 계산법 완전 정리 | 최대 18개월·3회 분할 기준과 실전 가이드

육아휴직 기간 계산법: 기본 12개월, 조건 충족 시 최대 18개월, 최대 3회 분할. 고용노동부 공식 기준과 최신 개정사항, 계산기 사용법까지1. 육아휴직, 얼마나 쓸 수 있을까? 육아휴직은 자녀의

melodyfour.com

 

 

육아휴직 1년 6개월 유급, 육아휴직 연장·급여 인상

육아휴직을 준비 중인 예비 부모님, 또는 이미 휴직 중인 맞벌이 가정에 기쁜 소식입니다!2025년 2월 23일부터 육아휴직 기간이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되고,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도 상향됩니

melodyfour.com

 

 

2025년 육아휴직 급여신청 총정리: 상한 450만 원, 사후지급 폐지, 18개월 연장까지 완벽 가이드

2025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 상한이 대폭 인상되고, 사후지급 폐지, 출산휴가·육아휴직 통합신청,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등 정책 편의성과 수당 혜택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이제 첫 6

melodyfour.com

 

 

육아휴직 연장 조건·급여·분할 총정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