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년 2인 가구 기준 기초생활수급자 수급액

by 멜로디퀸 2025. 7. 10.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2인 가구 수급액 완벽 정리|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기초생활수급제도는 소득과 재산이 낮은 저소득 가구를 보호하는 복지 제도입니다. 특히 2인 가구는 부부, 부모-자녀, 장애인 가족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더욱 큽니다.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이 6.42% 인상되며, 수급 가능 가구도 확대되었습니다.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근로소득공제 확대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개선이 함께 이뤄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2인 가구의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 조건 및 예상 수령액, 계산법, 신청 팁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①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및 급여별 수급 기준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2,392,013원
  • 2인 가구: 3,932,658원

각 급여별 수급 기준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급여 종류 기준 비율 2인 가구 기준액
생계급여 32% 1,258,451원
의료급여 40% 1,573,063원
주거급여 48% 1,887,676원
교육급여 50% 1,966,329원

 

이 기준에 따라, 수급 가능성은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위 기준 이하일 때 발생합니다.

 

② 생계급여

 

생계급여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일 경우 받을 수 있습니다.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2%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해당 기준에서 소득인정액을 차감한 차액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 예시: 소득인정액이 800,000원인 경우 → 1,258,451 – 800,000 = 458,451원/월 지급

 

2025년 주요 변화:

  •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65세 이상 적용)
  •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연소득 1.3억, 재산 12억 이하)

 

③ 의료급여

 

의료급여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일 경우 받을 수 있습니다.

2인 기준 선정액은 1,573,063원입니다.

 

2025년에는 본인 부담이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전환되며, 외래 진료 365회 초과 시 자부담이 늘어나는 방식이 도입됩니다.

또한 건강생활유지비가 월 12,000원으로 인상됩니다.

 

④ 주거급여

 

주거급여는 임대료, 전세보증금 환산액, 수선유지비 등을 지원합니다.

2인 기준 선정액은 1,887,676원입니다.

 

지역별 기준임대료는 서울 2인 가구 기준 최대 395,000원까지 적용되며, 자가 가구의 경우 주택 노후도에 따라 연간 133만~457만 원까지 수선비가 지원됩니다.

  •  보수 유형: 경보수, 중보수, 대보수

 

⑤ 교육급여

교육급여는 의무교육 대상 학생에게 교육비를 지원합니다.

  • 2인 기준 선정액: 1,966,329원
  • 초등학생: 연 487,000원
  • 중학생: 연 679,000원
  • 고등학생: 연 768,000원

지원 항목: 교과서비, 입학금, 수업료, 교육활동지원비

 

⑥ 소득인정액 산정법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소득평가액 예시: 800,000 – 240,000 = 560,000원

재산환산액 예시: (1억 – 공제) × 4.17% ÷ 12 ≈ 62,600원

자동차 환산: 2,000cc 또는 500만 원 이하 차량은 완화된 일반환산율 적용

 

⑦ 사례 중심 계산 예시

사례 1: 서울 거주, 소득 800,000원, 금융자산 1억

  • 소득인정액 ≈ 560,000 + 62,600 = 622,600원
  • 생계급여 수령액 = 1,258,451 – 622,600 = 635,851원

 

사례 2: 경기 거주, 소득 500,000원, 자동차 1,800cc

  • 소득인정액 ≈ 366,000원 → 생계급여 ≈ 891,000원

 

⑧ 제도 개선 요약

  • 기준 중위소득 6.42% 인상
  •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 노인 근로공제 확대
  •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 의료 본인부담 정률제 전환
  • 주거·교육급여 확대

 

⑨ 신청 절차 및 팁

✅ 신청 방법

  • 온라인: 복지로(www.bokjiro.go.kr)
  • 오프라인: 주민센터 방문

✅ 준비서류

  • 신청서, 금융재산 동의서
  • 임대차계약서, 통장사본, 신분증 등

✅ 팁: 장기저축공제, 자동차 환산율 확인, 공제항목 최대 활용

 

⑩ FAQ

Q. 자동차가 있어도 생계급여 받을 수 있나요?
✅ 2025년부터 기준 완화로 대부분 차량은 수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Q. 자녀가 있어도 수급 가능할까요?
✅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로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Q. 교육급여는 초등학교도 포함되나요?
✅ 초등학생도 학용품비 및 교육활동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 기초생활수급자 제도가 크게 완화되며, 많은 2인 가구가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통해 나의 수급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해보세요!

 

더 궁금한 내용은 주민센터 또는 보건복지부 콜센터(129)에서 상담 가능합니다.

 

2025년 2인 가구 기준 기초생활수급자 수급액

댓글